티스토리 뷰

반응형

부모님 연금을 연말정산에서 공제받을 수 있을까?

연말정산 시즌마다 많은 분들이 부모님을 부양가족으로 등록해 세금을 줄일 수 있는지 고민합니다. 

특히 부모님이 받으시는 국민연금, 공무원연금, 기초연금 등 다양한 연금이 공제 기준에 포함되는지 궁금하실 텐데요. 

 

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

부양가족 공제 대상 조건

  • 부모님의 연간 소득 합계액이 100만 원 이하여야 합니다.
  • 연금은 소득 기준에 포함되는 경우와 포함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.
  •  

연금, 소득 기준에 포함될까?

1. 포함되지 않는 연금 (비과세 연금)

 

아래 연금은 소득 계산에서 제외됩니다.
부모님이 이런 연금만 받으신다면 금액과 관계없이 부양가족 공제 대상이 됩니다.

  •  
  • 기초연금
  • 유공자연금
  • 산재연금
  • 유족연금
  • 장해연금
  • 주택연금
  • 농지연금
  •  

2. 포함되는 연금 (과세 연금)

아래 연금은 소득 기준에 포함됩니다. 연금 수령액에 따라 공제 여부가 결정됩니다.

  • 국민연금
  • 공무원연금
  • 사립학교교직원연금
  • 군인연금
  • 별정우체국연금

공제 가능 여부 계산하기

  1. 과세 연금 수령 시
    • 연간 총 연금 수령액(세전)이 516만 원 이하라면 부양가족 공제가 가능합니다.
    • 예: 부모님이 매월 40만 원(연간 480만 원) 이하의 국민연금을 받으신다면 공제 가능.
  2. 2001년 이전 납부 연금은 비과세
    • 공적연금(국민연금, 공무원연금 등)은 2002년 이후 납부한 금액만 과세됩니다.
    • 따라서 2001년 이전에 납부한 연금은 소득 기준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.

요약

  1. 비과세 연금만 수령 중이라면 금액에 관계없이 공제 가능!
    • 기초연금, 유공자연금, 산재보상급여 등.
  2. 과세 연금은 연간 총액이 516만 원 이하일 때만 공제 가능!
  3. 혼동될 땐 공단에 문의하세요.

연금공단 문의처

  • 국민연금공단: 1355
  • 공무원연금공단: 1588-4321
  •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: 1588-4110
  • 군인연금 콜센터: 1577-9090

연금 납부 시점, 세금 부과 여부 등은 각 공단에서 정확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부모님의 연금을 정확히 파악해 연말정산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!

 

 

반응형
댓글